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쓸모있는댕댕이정보

강아지는 어떻게 사람을 구별할까요?

반응형

사람들은 얼굴과 이름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서로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인간과 같은 영장류는 진화하면서 그를 통해 시각이 발달되고 냄새를 맡는 후각의 기능은 쇠퇴하였다고 합니다. 

 

사람은 눈으로,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능력은 더욱 좋아졌지만 냄새로 사물을 구분하는것은 어려운거죠~!!


그렇다면 강아지들은 사람을 어떻게 구별할까요?

 

강아지들은 사람과는 반대로 색을 구분하는 능력이 발달되지 못한데 반하여

진화를 통해 후각적인 능력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므로 강아지는 후각을 통해서 사람, 사물을 구별해낼 수 있습니다. 

 

 

 

 

특히나, 강아지의 후각은 땀속에 포함되어있는 휘발성 지방산을 감지하는데 탁월한 능력이 있다고 합니다.

강아지의 코 내부는 촉촉하여 공기중에 떠다니는 수많은 냄새 입자를 잘 붙들어 놓으며

냄새 감지 센서가 발달 되어 있기때문에 아주 미약한 냄새라도 매우 잘 식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호자의 냄새에는 특히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노령견의 경우 시력이 나빠져서 주인이 집에 돌아오면 보지 못하더라도 주인의 냄새를 통하여 꼬리를 치며 주인을 반기고 혼자 집을 지킬 때 보호자의 옷가지를 가져다 놓는 등 냄새에 민감하여 보호자의 냄새를 통해 안정감을 찾기도 합니다. 

 

호기심이 강한 강아지는 처음 만나는 사람이라도 상대에게 나는 냄새를 활발하게 맡으며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모으려고 합니다. 

이전에 만난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같은 냄새를 다시 맡았을 때 그 정보를 오래토록 기억합니다. 


 

 

 

강아지의 후각능력은 인간에 비해 1억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강아지는 탁월한 후각능력을 이용하여 경찰견, 마약탐지견, 재해구조견 등 많은 업무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또한, 강아지의 후각능력이 의료계통에 까지 쓰이기도 합니다. 

개는 후각능력을 통해 암세포의 존재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견주의 암을 미리 조기에 알아낸 강아지도 있었다고 합니다.

(보호자의 몸의 한 부분에만 집착하며 냄새를 맡는 강아지의 행동이 이상하다고 생각한 보호자가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았고 해당 부위 부근에서 피부암이 진행중이였었다고 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의료 클리닉의 보고에 따르면 암환자가 내뱉는 숨을 냄새로 식별하도록 훈련을 받은 강아지는 암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질병을 조기발견하는데에 강아지의 후각능력을 이용하려는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니

더욱더 강아지는 우리의 삶에 한발 더 가치있게 다가올 수 있을 듯 하네요^^ 

 


 

 

자, 이렇게 해서 오늘도
'강아지가 사람을 어떻게 구별하는지"

그리고 강아지의 후각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어떻게 도움이 되셨나요~?^^ 

 

재미있는 정보이셨길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되세요:) 

 

 

 

 

 

반응형